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폐유리병 재활용해 명품디자인 벽돌 만든다

2011-04-19


영국의 수도 런던의 작은 위성도시인 킹스턴. 이곳은 오래전부터 탬즈강을 낀 수려한 자연 경관과 역사의 멋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마을로, 왕실전유지인 로열 버로우(Royal Borough)로 보존되어 왔다. 지금은 현대적인 도시로 탈바꿈하였지만 여전히 도시 곳곳에는 고풍스럽고 아기자기한 전통이 살아 숨 쉬고 있다. 이는 도시미관에 있어 전통의 멋을 최우선시하는 시정부 노력의 결과로, 그 중 가장 전통의 멋을 간직한 것이 도로다. 옛날 마차가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던 시절 만들어진 도로는 모두 돌 타일로 되어있어 현대의 아스팔트 도로와는 사뭇 다른 멋을 간직하고 있다.

기사제공 | 디자인DB(www.designdb.com)


그런데 이러한 도로는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새로 만드는데도 만만치 않은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만 생각한다면 실용적이고 저렴한 아스팔트를 까는 것이 편하다. 딜레마에 빠진 도시계획담당자들이 고민 끝에 개발한 것이 바로 재활용유리병을 이용해 도로 타일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린보틀은 이렇게 탄생했다. 시 정부는 독일의 도이치방크가 후원하여 조직한 재단인 Free Form Arts Trust와 협의하여 재단 산하에 Green Bottle Unit(이하: GBU) 이라는 조직을 설립하여 산업화시켰다. GBU는 제조된 물건을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판매하는 일반 기업과 달리 사업의 상당부분을 지역주민과 협력한다. 폐유리 공급은 각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부서를 통해 조달하고 자신들은 생산만 담당한다. 제품의 디자인과 개발은 모두 지역주민, 아마추어 디자이너와 예술가에게 맡긴다. 이를 통해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해 제품이 설치되고 나면 거기서 얻는 수익 또한 상당부분을 개발에 참여한 주민에게 나눠준다. 이 같은 상생경영은 GBU가 사업을 확장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재활용에 많은 비용이 드는 유리병을 산업자재로 활용하여 비용 절감
한 해에만 쏟아지는 폐유리병의 양은 실로 엄청나다. 영국 가정은 매년 평균적으로 500개의 유리병을 소비한다. 영국 최대의 유리병 제작소 한 곳에서만 매일 100만 개의 유리병이 생산된다. 이러한 엄청난 양의 유리병은 사용 후 병 채로 재활용되지 않으면 쓰레기 처리를 위해 매립되는데 유리라는 것이 자연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영구히 땅 속에 남는다. 매립 량을 줄이기 위해 재활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활용되는 유리병은 전체 폐기량에 비하면 수량이 그 수량이 극히 적다. 유리병이 재활용되려면 깨지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깨지거나 금이 가는 등 손상이 심하면 다시 쓸 수 없다. 부서진 유리를 열처리 하여 재가공한 후 병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자면 추가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성 문제가 대두된다. 이러한 이유로 그냥 매립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린보틀은 이러한 문제를 기회로 삼았다. 폐유리를 병으로 재가공하기보다 산업자재로 쓰자는 것이다.


유리를 블록형태로 만드는 데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아 경제적이고 가공작업 또한 쉽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이유가 하나도 없는 것이다. 벽돌을 찍어내듯 폐유리를 모아서 블록을 찍어내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생산된 유리블록을 기존 석재도로에 블록으로 사용하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면서 미적 감각까지 극대화 할 수 있다. 건물에 들어가는 벽돌을 대체하는 훌륭한 재료도 된다. 돌과 달리 자유자재로 디자인을 하기 쉬운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GBU는 유리병뿐만 아니라 매립도가 높은 산업유리와 가전제품에 쓰이는 부품용 유리(브라운관 등)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린보틀 사업은 친환경적이면서 도시 개발에 활용도가 높다는 점, 그리고 지역사회가 동참하는 사업모델이라는 점으로 유럽지역개발기금(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과 같은 국제기구의 지원도 받고 있다.


지자체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협력이 성공의 핵심
2000년 설립된 GBU는 이제 영국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전국 소도시들의 지역개발뿐 아니라 민수시장에서도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독일, 프랑스 등 인근국가에 수출을 하고 있으며 일본까지 진출해서 현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설립된 지 4년 만에 부채 없이 순 매출만 35만 파운드를 기록했고 연간 2000톤의 생산을 달성하였다. 특히 2008년부터 일반 소비자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제품이 유리를 하드웨어로 채택하는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폐기되는 유리가 20%나 증가하여 더욱 더 좋은 조건에 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GBU는 폐유리를 공급받을 때 민간 폐기물 업체에서 사오지 않고 각 지자체에서 수거한 쓰레기를 무료로 공급받는다. 즉, 재료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수익성이 높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주민들로부터 수거한 재활용쓰레기를 폐기물 처리회사에 돈을 주고 처리하기보다 GBU같은 곳에 넘기는 것이 예산을 절감하는 길이기 때문에 그린보틀 사업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 그린보틀 사업의 성공요인은 기업형의 수익독점방식을 버리고 지자체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협력모델을 만든 것이다.


출처 | KOTRA Green Report Vol. 09 2010 Autum
본 정보는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디비닷컴(www.designdb.com)에서 제공한 자료이며, 상기 정보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