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리뷰

글로 설계된 미술관

2012-08-10


‘Writing Band’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글을 쓰는 일곱 명의 필자들이 개별적으로 찾은 미술관에 대한 기억을 나누는 프로젝트이다. 각자 다른 시간 속에서 경험한 미술관의 모습이 설계 도면 위에서 펼쳐지면, 이것은 하나의 이미지가 되어 웹을 통해 전시된다. 이 프로젝트는 공간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자, 그들의 글로 만들어진 미술관에 대한 이야기이다.

에디터 | 정은주(ejjung@jungle.co.kr)
자료제공 | 현시원

기획 현시원
디자인 홍은주, 김형재
참여 필자 김해주, 김혜리, 박재용, 윤원화, 정현, 호경윤, 현시원
웹사이트 http://www.writingband.net

‘Writing Band’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오는 8월 12일까지 열리는 'Move'전의 일환으로 기획된 ' on the spot’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독립 큐레이터인 현시원씨를 비롯해, 국립극단 연구원인 김해주씨, 씨네 21의 기자인 김혜리 씨 등 총 일곱 명의 필자들이 함께 참여했다. 이들은 영화, 건축 등 각자 다른 전공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자신만의 주제와 관점으로 미술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진행 방식은 간단하다. 2012년 6월, 7월 프로젝트에 참가한 필자들은 각자 다른 시간에 미술관을 방문한 다음 보고, 느꼈던 것들을 자신의 방식대로 말을 걸고, 기록한다. 유일하게 주의해야 할 사항은 이들이 머물렀던 공간에 대한 기억이다. 이들의 글은 홍은주, 김형재 두 디자이너에게 전달되어, 웹사이트의 도면 위에 벽돌을 쌓듯 미술관의 이미지가 만들어진다. 굳이 이들의 글을 한꺼번에 모아 업로드 하는 이유는 하나의 뼈대를 가진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현시원 씨의 바람 때문이었다. 다소 일방이라 느껴질 수 있지만, 이것은 각 필자들의 글이 주목 받는 것보다 이들의 글이 어우러지는 풍경을 보여주기 위한 하나의 장치라 할 수 있다. 웹페이지를 방문한 독자들은 각자 원하는 방식으로 글을 읽을 수 있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주어지면서 모두 다른 이미지를 만나게 된다.

현시원씨가 글쓰기와 퍼포먼스. 개념적으로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 두 가지를 주목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글쓰기는 왜 개별적인 작업이고 매체라는 한정된 형태에서만 나올 수 있는지, 퍼포먼스는 관객과 무대가 존재하는 곳에서만 가능할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각자 다른 위치에서 쓴 글이 모여, 하나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있자면, 마치 공연 시작 전 음을 맞춰나가는 밴드의 모습이 겹쳐진다.

‘Writing Band’가 보여주는 이미지는 무엇이라고 단정지어 말할 수는 없다. 이것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조각들이 계속 모이고 확장되어 새로운 교감을 이뤄낸 하나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 on the spo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지만, 이들의 작업은 향후 1년 동안 웹사이트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기획자인 현시원씨는 앞으로 홍은주, 김형재씨와 함께 다른 공간에서도 ‘Writing Band’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멤버가 바뀌거나, 다른 공간에서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또 웹사이트 작업에만 한정시킬 것이 아니라, 전시를 기획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